나이
김경미
이목구비에 직업이 새겨지기 시작했다
정물화는 원래 제 뜻으로는 움직일 수 없는 화병, 해골,
꺾인 꽃, 썩은 과일들만 주제로 삼는
허무의 그림이었다고 한다
건강에는 좋지만 과일 같지는 않은 토마토를
먹어야 한다
몸 안에서 손가락과 발가락이 서로 닮아간다
구두코와 코끝이 맡는 냄새도 닮아간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벽시계를 향해 생일 케이크를 힘껏 던져보기도 하고
케이크에 달력의 얼굴을 실컷 엎어주고
여전히 재치를 믿는 듯 웃어보기도 한다
바위에 제 부리를 깨고 제 발톱 제 깃털을 찧고 나면
살아온 날만큼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새들의
전설의 바위산 가는
정거장
짐 보퉁이처럼 하염없이 버스를 기다리는 이들
몇 년이 지났을까
슬픔도 믿어야 한다
사람에겐 스물아홉이나 서른아홉 두 가지 나이가
있을 뿐인가
정거장 바닥에 내려놓았던 짐을 다시 든다
—《문학청춘》2010년 여름호
' 좋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단의 행방 / 배용제 (0) | 2010.09.29 |
---|---|
이별의 질서 / 서안나 (0) | 2010.09.17 |
빗소리는 아내의 기척처럼 / 조정인 (0) | 2010.08.24 |
한 개의 붉은 사과 / 조정인 (0) | 2010.08.24 |
사곶해안 / 박정대 (0) | 201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