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시

별식(別食)

  별식(別食)

                     박형준

 

빗속에서 밀가루 떡 냄새가 난다.
창을 활짝 열어둔다.

 

어린 시절 머리맡에 놓인
밀가루 떡 한 조각.
동구의 밭에서 일하던 아버지가
점심 무렵 돌아와
막내를 위해 만들어주던 밀가루 떡.

 

누군가의 머리맡에
그런 시 한편 슬몃 밀어놓은 날 있을까.
골목의 빗속에서
아무 맛도 없이 부풀어가는



― 「별식(別食)」 중에서 (『생각날 때마다 울었다』)

 




아버지의 밀가루 떡


아버지의 사랑을 깨닫고자 하는 분들에게



아버지가 다른 세상으로 가신 후 어린 시절 아버지가 내게 만들어주던 밀가루 떡에 대해 생각하는 날이 많아진다. 이스트만 넣고 부풀린 밀가루 떡에서는 술냄새 비슷한 것만 나고 아무 맛도 없었다. 점심 무렵 동구의 밭에서 일하다 돌아온 아버지는 부엌에서 달그락대다 숭숭 구멍이 뚫린 밀가루 떡을 쟁반에 얹어놓고 방바닥에 엎드려 공부를 하는 내 옆에 슬쩍 밀어놓곤 나가셨다. 어쩔 때는 그 맛없는 떡을 머리맡에 놓아두고 잠이 들곤 하였다.  


아버지는 참 말씀이 없으셨다. 마당에 낙엽이 내리면 낙엽을 쓸고, 새벽에 일어나시면 서둘러 밥을 먹고 밭에 나가 그런 낙엽 같은 채소를 길렀다. 아버지가 기른 채소는 식구들이 배불리 먹을 수도 돈이 될 수도 자식들을 가르칠 수도 없는, 그저 아버지의 삶이 충실했음을 보여주는 당신만의 증거였을 뿐이었다. 그것은 낙엽처럼 아름답고 헛된 삶이었다. 그런데 아버지가 저 세상으로 가신 뒤, 나는 한시도 아버지 생각을 머릿속에서 잊은 적이 없다. 내게는 평범에 대한 증오 같은 것이 있었다. 나는 시를 천재성이 없으면 쓸 수 없는 것이라고 믿었고, 젊은 날을 그렇게 살아왔고, 그 말을 듣기 위해 남모르게 셀 수 없는 밤을 파지로 흩날렸다.


그런데 아버지는 내게 그 맛없는 떡 한 조각을 남겨주시고 세상을 뜨셨다. 어린 시절 머리맡에 놓여져 있는 그 밀가루 떡. 그때 맛이 없다고 먹지 않았던 무미(無味)한 떡 한 조각이 이제 내게는 평생 써야할 시가 되었다. 낙엽 같지만 헛되고 아름다웠던 아버지의 노동. 그 빈궁은 너무나 절실해서 말이 되지 못하고, 그 침묵의 안쪽에 들끓는 가족애는 어린 막내의 옆에 가만히 놓아둔 밀가루 떡이 되었다. 앞으로 나는 그런 맛없는 시를 세상의 한켠에 부끄럽게 놓아두고 싶다. 

 


박형준 올림

' 좋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에 / 김행숙  (0) 2012.12.27
지구본 때문에 / 이경애   (0) 2012.10.07
붉은 눈 / 안도현   (0) 2012.06.17
청진의 기억 / 이은규   (0) 2012.06.15
부드러워진다는 것 / 박연숙  (0) 2012.05.18